subvisual



강희정 (교수)

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연구소장. 대학원 동남아시아학 협동과정 교수. 아시아 미술사 전공. 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불교미술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아편과 깡통의 궁전난처한 동양미술 이야기1, 2, 3 등의 저서와 해상 실크로드와 문명의 교류신이 된 항해자도시로 보는 동남아시아사1, 2 등의 공저가 있다. 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민간위원, 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조정전문위원회 위원, 한국연구재단 한중포럼운영위원회 운영위원을 역임했으며, 현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특별위원회 위원, 한국미술사학회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

 

E-mail

esvara@sogang.ac.kr

 

연구실

다산관 328


약력

  •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졸업/ 동 대학원 박사
  •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전문위원(2013.05~2015.04)
  • 중국사학회 <중국사연구> 편집위원(2013~)
  •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 <한국학연구> 편집위원(2013~)
  • 경기도 문화재위원(2014.03~2016.02)
  • 성남시립박물관 건립추진위원(2015~2016)
  • 한국미술사교육학회 감사 및 편집위원(~2015)
  • 한국컨텐츠진흥원 평가위원(2016~)
  •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건축분과 문화재전문위원(2017~2019)
  • 국립중앙박물관 아시아부 자문위원 (2017~)
  • 아세안문화원 자문위원 (2017~2018)
  • 서울시 지방보조금심의위원(2017~2020)
  • 한국미술사학회 총무이사(2018~2019)
  • 한국미술사학회 <미술사학연구> 편집위원장(2020~)
  •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민간위원 (2019~2022)
  •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특별위원회(2020~2023)             
  •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조정전문위원회(2021~2023)         
  •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대중화사업 운영위원(2019)
  • 한국연구재단 인문학진흥자문위원회 위원(2020~2022)
  • 한국연구재단 한중포럼운영위원회 운영위원(2021~2022)      
  • 국립광주박물관 도자자문위원회 위원(2017~)
  •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자체평가위원(2020~2023)
  • 동양미술사학회 학술지 <동양미술사학> 편집위원장(2019~2022)
  • 한국연구재단 등재지 <불교학연구> 편집위원(2019~)
  • 한국연구재단 등재지 <동서미술문화> 편집위원(2021~)

연구주제

  • 탈식민주의와 아시아 문화재의 반환 문제
  • 해상 실크로드와 물질문화의 유통
  • 유네스코 세계유산과 정치적 함의 

강의과목

학부

<아시아의 미술과 문명>

<한국미술의 역사와 감상>

<한국미술사>

 

대학원

<고전기의 동남아>

<동남아의 예술>

<한국과 동남아>

<동남아의 종교와 예술

<동남아 미술사>


학술논문:

  • 「5-6세기 中國의 〈降魔〉 敍事와 成道의 이해」, 미술사학연구266, 2010
  • 「통일신라 관음보살상 연구 시론」, 인문논총63, 2010
  • 「6세기 扶南과 山東의 사르나트 양식 불상- 남방해로를 통한 인도 불교미술의 東傳-」, 중국사연구67, 2010
  • 「일제강점기의 조선 불교미술 조사와 복원: 한국 불교미술 연구의 출발점」, 미술사와 시각문화9, 2010
  • 「6-7세기의 동남아 힌두 미술-인도 힌두미술의 전파와 초기의 변용」, 동남아시아연구 20/3. 2010
  • 「야나기 무네요시의 석굴암 인식  - 20세기초 일본인 지식인에 의한 최초의 석굴암론 -」, 진단학보110, 2010
  • 「일제강점기 한국미술사의 구축과 석굴암의 ‘再맥락화」, 선사와 고대33, 2010
  • 「머라이언과 박물관: 싱가포르의 국가 만들기&」, 『동아연구』;30/1, 2011
  • 「고대 동남아 종교미술에 미친 인도 미술의 영향」, 『인문논총』, 2011
  • 「미술을 통해 본 唐 帝國의 南海諸國 인식」, 『중국사연구』, 2011
  • 「禮敬과 善業을 위하여: 繞匝을 위한 塔과 像」, 미술사와 시각문화10, 2011
  • 「中國人의 南洋 移住와 近代 東南亞의 中國系 美術」, 『중국사연구』83, 2013
  • 「아편, 주석, 고무:페낭 화인사회의 형성과 전개, 1786-1941」, 『동남아시아연구』23/3, 2013
  • 「9세기 비로자나불 조성의 배경과 의미」, 한국고대사탐구13, 2013
  • 「명작의 탄생: 20세기 석굴암의 신화」, 미술사와 시각문화12, 2013
  • “The Spread of Sarnath-Style Buddha Images in Southeast Asia and Shandong, China, by the Sea Route,” KEMANUSIAAN, 20/2, 2013.
  • “Reinvented and Re-Contextualized: Cultural Property in Korea during Japanese Occupation”, 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, Vol.4, No.7, 2014.
  • 「보원사지 오층석탑 사리함의 연기법송(緣起法頌)과 해상실크로드」, 『미술사와 시각문화』 13, 2014.
  • “A STUDY OF EARLY KORYŎ STATUES OF THE GREAT MONK SENGQIE EXCAVATED FROM P’AN’GYO-DONG, SŎNGNAM CITY”, ACTA KOREANA, Vol.17, No.1, 2014.
  • “Another Form of Orientalism: Koreans’ Consciousness of Southeast Asi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”, KOREA JOURNAL, Vol.54, No.2, 2014.
  • 「미술사의 안과 밖」, 역사와 현실94, 2014 
  • “Kunlun and Kunlun Slaves as Buddhists in the Eyes of the Tang Chinese”, KEMANUSIAAN, 22/1, 2015
  • 「‘良志使錫’ 試論-양지의 남방도래 가능성에 대하여-」, 서강인문논총43, 2015
  • “A Study on Chinese Community and Opium Farms in Penang in the 19th Century”, JOURNAL OF MODERN EDUCATION REVIEW, 5/4, 2015
  • 「阿帕莎拉之路,飞天文化:通过丝绸之路所看到的8世纪的全球化」, 西部邊疆硏究叢書2015 특집호, 2015
  • 「7세기 偏袒右肩 佛立像의 起源과 전개」, 신라사학보36, 2016
  • 「양질전화는 가능한가?: 2013~2014년 한국미술사 연구, 성과와 전망」, 역사학보231, 2016
  • 「17세기 이후 불상의 복장(腹藏) 의례: 법계(法界)의 구현」, 미술사와 시각문화18, 2016
  • “Vairocana, Image of Dharmaka–ya in the late Silla Dynasty”, JOURNAL OF KOREAN ART & ARCHAEOLOGY 10, 2017
  • 「확대되는 지평, 다변화되는 주제: 아시아 미술사 연구」, 역사학보235, 2017
  • 「인도네시아 싱아사리 왕국 반야바라밀상의 정치적 맥락 — 탈식민주의시대 문화재 반환 과 종교미술의 맥락 변화」, 『미술사와 시각문화』20, 2017
  • 「해상 실크로드와 불교물질문화의 교류」, 동아연구37/1, 2018
  • 「仏教美術から見たアジアの美、韓国の美:飛天を中心に」, 『言語社會』12, 2018
  • 「외연의 확대, 지평의 확산: 동남아 미술 연구 10년」, 동남아시아연구28/3, 2018
  • 「나가와 용」, 동양미술사학8, 2018
  • "The Remains from Ancient Times: Newly Formed Connections with Buddhist Culture Designated as Art or Cultural Asset", JOURNAL OF KOREAN RELIGIONS, Vol.10, No.1, 2019
  • 「서산 보원사 사리기와 신라 하대의 해상 교류」, 신라사학보 46, 2019
  • 「미얀마 고대 쀼 왕국의 불교미술과 인도의 영향」, 동아연구 39/1, 2019
  • 「베트남 남부 옥 에오(Óc Eo) 고대 종교미술의 특징과 의의」, 미술사학연구 305, 2020
  • “Making Buddhist Statues Alive: Pokchang as the Buddha-Mother and Maṇḍala in Late Chosŏn Period Korea”, CAHIERS D'EXTRÊME-ASIE 28, 2020
  • 「북위 불교미술을 통해 본 탁발선비의 문화포용력」, 중앙아시아연구 25/2, 2020
  • 「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의 밀교적 성격 재고」, 동아연구40/1, 2021
  • 「제3공화국의 경주 남산 개발과 국가주의 문화재 행정」, 한국문화93, 2021
  • 「회암사지 출토 석조불상편 고찰」, 미술사학연구311, 2021
  • 「힌두-불교 시대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의 짠디와 신왕사상」, 불교학연구 68, 2021
  • 「신라 중대 조각사에서 석굴암의 양식적 특징과 위상」, 미술사와 시각문화 31, 2023
  • 「한국 해수관음의 전통과 새로운관음 성지 조성」, 한국고대사탐구 44, 2023


저서:

  • 『외부 세계와 동남아』, 이매진, 2011 (공저)
  • 『동남아시아의 박물관』, 이매진, 2011 (공저)
  • 『동남아시아의 불교조각』, 한국문화재연구소, 2011 (공저)
  • 『나라의 정화, 조선의 표상 – 일제강점기 석굴암론』, 서강대학교 출판부. 2012 (단독)
  • South-East Asia: Studies in Art, Cultural Heritage and Artistic Relations with Europe, POLISH INSTITUTE OF WORLD ART STUDIES & TAKO PUBLication, 2013 (공저)
  • 『전략지역심층연구논문집 I: 동남아, 인도, 남아시아』, 대외경제정책연구원, 2013 (공저)
  • 『일제기 문화재 피해자료』, 사회평론, 204.12 (공저)
  • 『클릭 아시아미술사』, 예경, 2015.09 (공저)
  • 『지상에 내려온 천상의 미』, 서해문집, 2015.10 (단독)
  • 『신라사대계: 신라의 서화와 조각』, 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 (공저)
  • 『일제강점기 언론의 신라사 왜곡』, 한국학중앙연구원, 2017.07 (공저)
  • 『해상 실크로드와 문명의 교류』, 사회평론 아카데미, 2019.05(공저)
  • 『아편과 깡통의 궁전』, 푸른역사, 2019.10 (단독)
  • 실크로드 연구사전, 국립문화재연구원, 2019 (공저)
  • 넓고 깊게 보는 중국 미술, , 민속원, 2020 (공저)
  • 신이 된 항해자, 아시아문화전당, 2021 (공저)
  • 회암사의 조각, 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, 2021 (공저)
  • 난처한 동양미술 이야기 1, 2, 3, 사회평론, 2022, 2023 (단독)
  • 도시로 보는 동남아시아사 1, 2, 사우, 2022, 2023 (공저)
  • 키워드 동남아, 한겨레출판사, 2022 (공저)
  • 해양과 메가아시아, 진인진, 2023 (공저)
  • 东亚文化野下的 , 절강대학교 출판부, 2023 (공저)

그외 리포트 및 기타논문:


  • 2013. 唐代 중국인의 눈에 비친 他者로서의 곤륜-곤륜인 (포스코청암재단)
  • 2013. 지상에 내려온 천상의 미: 관음보살과 비천 (재단법인 아모레퍼시픽재단)
  • 2017 A Study of Korean Pagodas: Joseon Tappa ui yeongu by GO Yuseop. Korean Buddhism Library: Collected Works of Modern Korean Buddhism: Annotated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by LEE Seunghye. Seoul: Jogyesa, 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& CULTURE 26 (Book Review)
  • 2019. 신남방정책 인적 교류 활성화를 위한 인문학적 토대 구축 방안 (경제인문사회연구회)       
  • 2020. 대아세안 ODA 사업의 성공을 위한 인문정책 모색 (경제인문사회연구회)
  • 2022. -아세안센터 디지털 키오스크 아세안 문화 콘텐츠 제작 및 자문 (한아세안센터)
  • 2022. -아세안 문화유산 협력강화를 위한 정책 및 차별화 연구 (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