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bvisual






하정민

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,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미술사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. 이후 미국 듀크대학교(Duke University)에서 중국 6세기의 불교조각 및 석경 연구로 미술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. 중국과 한국의 고중세기 불교조각의 미술사적 의의 뿐 아니라 불교 의식 및 발원자를 둘러싼 종교적, 사회문화적 배경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논문을 출판했다. 현재는 미얀마의 불교 사원 벽화 및 석각 대장경, 베트남의 대장경 목판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.


E-mail

jungminha@sogang.ac.kr


주소

04107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5 서강대학교 다산관 342호


학력/주요 경력

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연구교수 (2021.11-현재)

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강사 (2016.03-현재)

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책임연구원 (2020.03-2021.11)

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객원교수 (2020.03-2021.02)

듀크대학교 (Duke University) 미술사학 박사 (2016.05)

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미술사학 석사 (2001.08)

서울대학교 인류학과 학사 (1998.02)

 

주요논저/학위논문  

하정민. 2023.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불입상의 한국 불교조각사적 의의, 『한국고대사탐구』44: 255-292.

하정민. 2023. 베트남 북부 사원이 불교 목판 연구 시론」, 『동아연구』42-1: 1-30. 

하정민. 2022.「두 불교 고사(故事) 특이한 결합 ― 중국 남북조시대 후기 불교조각에 나타난 아육왕시토(阿育王施土) 정광불수기(定光佛授記본생(本生장면」『미술사와 시각문화』 29: 246-285. 

하정민. 2021. 경주 창림사지 법화경 석경 재고,신라문화58: 387-418.

하정민. 2021.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트뤼브너 조상비(造像碑, the Trübner Stele)의 진위 논쟁 재고(1)) 조상기(造像記)와 문헌 및 금석학적 자료를 중심으로미술사와 시각문화27: 246-285.

하정민. 2020. “Book Review: Buddhist Pilgrim-Monks as Agents of Cultural and Artistic Transmission: The International Buddhist Art Style in East Asia, ca. 645770, by Dorothy C. Wong,”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30-2: 263-267.

하정민. 2020. 방산석경, 거란대장경, 그리고 고려대장경한국문화90: 3-35.

하정민. 2020. 미얀마의 불교적 제왕 이미지 구현: 바간 로카테익판 사원 주실 동벽 벽화 연구동아연구39-1: 75-108.

하정민. 2019. 충주지역 고려 초기 철불과 그 의의,인문과학연구논총(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), 40-2: 301-337.

하정민. 2018. 中國 中世 初期에 사용된 佛滅紀元: 山東省 洪頂山摩崖刻經 遺迹中心으로 中國史硏究 116: 67-107.

하정민. 2018. 경주 南山 七佛庵 불교조각과 石經片으로 본 통일신라의 불교신앙과 의례 한국고대사탐구 29: 303-353.

하정민. 2017. 텍스트에서 이미지로, 그리고 다시 이미지에서 텍스트로: 5-6세기 중국 불비상(佛碑像)에 나타난 시각적 구현 방식의 변화 미술사와 시각문화 20: 28-67.

하정민. 2017. 중국 山東省 鐵山의 거대한 佛敎 刻經碑: 6세기 후반 漢族의 문화적 정체성 구현 미술사학연구 294: 129-157.

하정민. 2016. 북제(北齊) 산동성 홍정산(洪頂山)에 새겨진 불교 텍스트: 선정 수행을 위한 불교 각경 (刻經) 미술사와 시각문화 17: 158-207.

Jungmin Ha. 2016. “Shaping Religious Aspiration Through Buddhist Words: Buddhist Mountain Inscriptions in Shandong Province During Northern Qi Dynasty (550-577 CE) in China,” Ph.D. dissertation, Department of Art, Art History, and Visual Studies, Duke University, Durham, NC, the United States.

 

진행연구/관심분야

미얀마 불교사원 벽화

미얀마 석경

베트남 목각 대장경

베트남 불교미술

중국 및 한국 불교조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