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bvisual


김종호
김종호 박사는 싱가포르 국립대학에서 전시기(1937-1949) 동남아 화교송금과 화교 기업가의 대응을 주제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. 그 이후 동남아시아 지역 화교화인 공동체 형성의 역사적 과정을 추적하는 작업과 동시에 남중국해를 사이에 둔 중국 화남지역 교향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.

E-mail

연구실
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5 서강대학교 다산관 422호

학력 및 주요 경력
·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부교수(2024-)
·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조교수(2018-2024)
·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(2017-2018)
· 경북대학교 시간강사(2016-2017)

저서
· 김종호, 「Ⅳ. 일본점령기(1942-1945) 동남아시아 전시 금융정책의 역사적 의미 -영국령 말라야 및 해협식민지의 금융 정황을 중심으로」, 『일본의 동남아시아 지배, 충격과 유산』, 김영숙, 고토 겐이치 외,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148, 2025 
·『중국 시진핑 시대 국가 편찬 대학교재의 역사교육』, 동북아역사재단, 2024 (공저)
· 강희정·김종호 외,『인물로 읽는 동남아』, 한겨레 출판사, 2024 (공저)
· 강희정·김종호 외,『도시로 보는 동남아시아사2』, 사우, 2023 (공저)
· 주경철·강희정·김종호 외,『해양과 메가아시아』, 진인진, 2023 (공저)
· 강희정·김종호 외,『키워드 동남아: 30개의 주제로 읽는 동남아시아의 역사, 문화, 정치』, 한겨레 출판사, 2022 (공저)
· 강희정·김종호 외,『도시로 보는 동남아시아사』, 사우, 2022 (공저)
· 김종호,『화교 이야기 : 중국과 동남아 세계를 이해하는 키워드 』, 너머북스, 2021
· 김종호,싱가포르 다문화·다인종 사회구조의 과거와 현재, 그리고 도전,세계도시설명서』 서울역사편찬원, 2021


주요 논문
· 김종호,근대 식민지 금융에서 전후 통합 금융으로 - 근대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 금융사 속 일본 점령기의 역사적 의미」, 『동남아연구 35(1), 2025
· 김종호,팬데믹과 함께 드러난 한국 동남아시아 역사학의 민낯: 2020~2023 한국 동남아시아 역사학 연구 동향」, 『역사학보 263, 2024
· Kim JongHo, "Trading Hub Beyond Ideologies: The Singapore-North Korean Economic Connection and Mission for Industrialization during the Cold War", Korea Journal 64(2), 2024
· 김종호,「화교 기술공이 경험한 전쟁, 냉전, 국가 · 남교기공(南僑機工천방싱(陳邦興)의 생애를 중심으로· 」, 『중국근현대사연구』101, 2024
· 김종호,「이주민이 세운 국가의 역사 교과서 - 싱가포르 역사 교육과정과 역사 교과서로 보는 국가와 민족 만들기-」, 『역사교육』169, 2024
· 김종호,교간(僑刊)으로 보는 냉전기 화교화인의 정체성 · 광둥성 차오샨 화교 격주간지 『차오저우향신(潮州鄕訊)』을 중심으로 -」, 『동아연구』42(2), 2023
· 김종호,마공정(馬工程) 『중국근현대사강요』의 중국계 이주민 서술의 특징 - 싱가포르 대만 역사교육과의 비교 분석」, 『동북아역사논총』79, 2023
· 김종호,싱가포르 2022: 포스트 팬데믹, 포스트 고령사회의 제도적 조치를 선도한 국가」, 『동남아시아연구』33(1), 2023
· 김종호,냉전초 동남아시아 밀무역 구조와 화상(華商) 역할아편공산품천연자원의 밀무역을 중심으로 -」, 『동남아시아연구』32(4), 2022
·「싱가포르 2021: 코로나 전환기 '뉴노멀'을 모색하는 싱가포르」, 동남아시아연구』, 32권 1호, 2022 
·「싱가포르 전염병 대응체계의 식민지적 기원: 해협식민지 기록으로 보는 식민시기 방역체제의 유산」, 『동남아시아연구』 30권 4호, 2020
· 김종호, 친공(親共)과 애국 사이-CIA 문서를 통해 본 냉전초 동남아 화교화인의 대중(對中)인식-중국근현대사연구85집, 2020
· 김종호, 「한중일 사회문화 통합지수 개발모색」, 『아시아리뷰』제9권 제2호, 2020 : 365-388 
· 김소영, 김종호, 정재호, 「동아시아(한중일) 통합지수 개발」, 『아시아리뷰』제9권 제2호, 2020 : 293-305
· 「50년의 역사, 200년의 역사, 700년의 역사, ‘이민국가’ 싱가포르의 건국사, 식민사, 21세기 고대사」, 『동서인문』 제12호, 2019
· 싱가포르·샤먼 도시개발과 도심지 주상복합 건축문화의 형성 - 숍하우스 '5피트' 외랑공간의 발견과 역사적 의미『동아연구』38(2), 2019
· “Between Cooperation and Survival: Overseas Chinese Remittance Business in Chaos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(1939-1945)”, Social Transformations in Chinese Societies 2018 Issue 1
· 「왕징웨이 난징국민정부시기 화교 송금시스템의 변화 – 중국 화남지역 사례연구」, 『중국근현대사연구』 78, 2018
· 「싱가포르 화교은행(OCBC)과 동아시아 전시체제-동남아 화상(華商)기업의 전시(戰時) 위기대응과 생존-」, 『史叢(사총)』 93, 2018
· 「‘중화성’모색을 위한 시도들― 서구권 및 동남아시아 지역 화교 화인 디아스포라 연구 경향 분석 ―」, 『중국근현대사연구』 73, 2017
· 「 중일전쟁초기(1937~1941) 중국 및 화교 금융기업의 생존전략― 동남아시아 화교 송금 네트워크와 中國銀行ㆍ中南銀行 ―」, 『중국근현대사연구』 71, 2016